청년 이사비 40만원 지원,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우리의 삶에서 이사는 필연적인 과정 중 하나이지만, 때때로 비용적 부담을 동반합니다. 특히 처음으로 독립해서 첫 집을 찾는 청년들에게 이사 비용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들이 건전한 주거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법을 공유하려 합니다. 

정부에서는 이런 청년들을 위해 부동산 중개비와 이사비를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지원은 생애 단 한 번, 최대 40만원 한도로 받을 수 있는데요. 신청 기간은 2023년 6월 9일까지로, 신청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청년들이라면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신청하여 이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청년 이사비 지원 조건

"청년"이라는 말을 듣고 '나는 20대가 아닌데 지원 받을 수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진 분들이 계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도의 청년은 만 19세에서 만 39세로, 2023년 현재 한국 나이로 41세, 즉 1983년생까지 포함됩니다. 

※ 이사비 무제한으로 지원되나요?
부동산 중개비와 이사비를 지원하는 청년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은 생애 한 번, 최대 40만원까지 지원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아직 많은 청년들이 이 이사 지원 제도의 존재를 몰라, 이로 인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조건에 해당되는 분들이 주변에 있다면 이런 정보를 널리 알리고, 청년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알아보기

1. 신청자의 주소와 전입 신고 기준

2022년 11월 17일 이후 서울시로 이사하는 청년들, 또는 그 날짜 이후에 서울 내에서 이사하신 분들 중 2023년 6월 9일까지 전입신고를 마쳐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가족이 있어도, 청년 이사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로, 신청자는 해당 주소의 세대주이어야 하며, 둘째로, 이사한 주소가 임차인인 신청자의 주민등록지로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유념해야 할 점은 외국인과 재외국민은 이 프로그램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2. 신청 대상 나이 기준

이사비 지원은 이사를 자주 하게 되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태어난 해가 1983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 사이인 만 19세에서 만 39세 사이의 청년들이 이 프로그램의 대상입니다.

3. 신청자의 소득 기준

신청자의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은 150% 이하여야 합니다. 즉, 2023년 건강보험료 고지 금액이 아래의 표와 같이 산정되어야 합니다. 

[표]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 (기준중위소득 150%)
가구원수 소득기준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3,117,000 111,677 50,654 112,823
2인 5,185,000 183,861 142,142 186,476
3인 6,653,000 237,913 206,359 242,216
4인 8,102,000 291,898 273,699 299,947
5인 9,497,000 346,067 335,569 359,887
6인 10,842,000 403,785 402,840 434,962

1인 가구의 경우, 월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이 직장 가입자는 약 11만원, 지역 가입자는 5.6만원 이하여야 하며 이는 대략 월 소득 311만원 이하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4인 가구의 경우, 월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이 직장 가입자는 29만원, 지역 가입자는 27만원 이하여야 하며, 이는 대략 월 소득이 약 810만원 이하에 해당합니다.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방법

건강보험 보험료납부확인서 발급하기
건강보험공단 보험료납부확인서 메뉴

참고로 본인 건강보험료 고지 금액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방문자별 맞춤 메뉴에 있는 "보험료 납부 확인서"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신청자의 주택 및 거주 형태 기준

마지막으로, 신청자는 무주택자여야 하며, 전세나 월세 거래금액이 2억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해야 합니다. 여기서 거래 금액은 월세의 100배를 임차보증금에 더한 금액입니다. 

  • 거래금액 = 임차보증금 + (월세액 × 100)
  • 거래금액이 5천만원 미만인 경우 = 임차보증금 + (월세액 × 70)

예를 들어, 임차보증금이 1억원이고 월세가 70만원이면, 1억원 + 70만원 x 100 = 1억 7천만원이 되므로, 2억원 이하의 거래 금액 조건을 만족하게 됩니다. 만약 기초수급자로 주거급여를 지급받는 경우 다음 글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기초수급자가 이사가면 주거급여 중단되나?! 청년 분리지급 조건 알아보기

청년 이사비 지원 신청 방법

청년 이사비 지원에 필요한 4가지 요건을 만족한다면, 이사비를 포함한 가구 구입비용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사비용 중에서도 중개수수료, 개인용 용달 포장 이사비용, 사다리차 이용비 등을 포함하며, 이 모든 비용 중 최대 40만원까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사비 지원은 방문이나 우편으로의 신청은 불가능하며, 온라인을 통한 신청만 가능합니다. 신청 기한은 2023년 5월 9일부터 2023년 6월 9일까지이며, 이 기간 내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셔서 신청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신청을 하여도, 예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회적 약자와 주거 취약 청년을 우선으로 선발하게 됩니다. 또한, 선발 순위는 소득이 낮은 순으로 결정됩니다.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신청 바로가기

정리

청년 이사비 지원 제도는 이사비용, 중개비용 등을 최대 40만원까지 지원해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만, 아직 많은 청년들이 이 지원 제도의 존재를 몰라 혜택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변에 이 조건에 해당하는 청년들이 있다면 이 정보를 널리 알려주세요. 그리고 청년들이 이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또한 본인이 이 조건에 해당된다면 적극적으로 신청하고 이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