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는 다양한 예적금 상품을 제공하며, 이를 활용하면 손쉽게 저축과 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이 글을 통해 카카오뱅크의 8가지 대표 예적금 상품들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참고하세요. 여기서 소개하는 상품들은 입출금 통장, 26주 적금, 세이프 박스, 저금통, 모임통장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상품의 특징과 금리, 사용 목적 등에 대해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카카오뱅크 예적금 상품 중 어떤 것이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카카오뱅크 8가지 예적금 상품 비교
카카오뱅크를 이용하면 입출금 통장, 26주 적금, 세이프 박스, 저금통, 모임통장 등 다양한 예적금 상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사회 초년생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각 상품에 대해 비교하고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카카오뱅크 입출금통장
카카오뱅크에서 계좌를 개설하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입출금통장입니다. 이 통장은 기본 통장으로, 입금과 출금을 수시로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편입니다. 하지만 금리는 연 0.1%로, 이자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통장은 주로 자금을 보관하거나 이체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2.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카카오뱅크의 26주 적금은 연 7%의 높은 금리로 유명하며, 이 상품을 통해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일반 은행의 적금 상품을 비교해보면, 5% 정도의 금리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카카오뱅크의 이 상품이 매력적입니다.
예상 원금 및 세전·세후 이자 계산
26주 적금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전할 캐릭터를 선택한 후, 1천원, 2천원, 3천원, 5천원, 1만원 중 하나의 도전금액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상품은 26주 동안 매주 최초 가입 금액만큼 자동으로 증액하여 저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도전금액에 따라 26주 후 만기 예상 원금과 세전 이자가 다릅니다. 세전 이자는 세금 공제 전의 이자를 의미하며, 실제로 지급될 때는 이자소득세 15.4%를 공제한 세후 이자가 입금됩니다.
도전금액 | 만기 예상원금 | 세전 이자 |
1,000원 | 351,000원 | 4,465원 |
2,000원 | 702,000원 | 8,930원 |
3,000원 | 1,053,000원 | 13,396원 |
5,000원 | 1,755,000원 | 22,327원 |
10,000원 | 3,510,000원 | 44,654원 |
도전금액이 커질수록 주의해야 할 점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은 1주차부터 시작하면 부담이 없지만, 저축 금액이 커질수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주차, 3주차 등 지날수록 저축 금액이 증가하기 때문에, 개인의 소비 패턴과 금융 상황을 고려하여 도전금액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6주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이자는 크지 않지만,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의 진정한 가치는 저축하는 습관을 기르고 돈을 모으는 성취감을 얻는 데 있습니다.
3. 카카오뱅크 모임통장 : 모임 회비 관리
카카오뱅크 모임통장은 친구, 지인, 회사 동료, 동호회 등 다양한 모임의 회비를 관리하기에 알맞습니다. 최대 100명의 멤버를 수용할 수 있으며, 모든 멤버들이 잔액과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투명한 회비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 통장의 금리는 0.1%입니다.
자동 알림 설정을 활용해 회비 납부일을 설정하면, 회비를 납부하지 않은 멤버에게 요청도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토스뱅크 모임통장을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카카오뱅크 저금통 : 스마트한 저축
카카오뱅크 저금통은 연 10%의 금리를 제공하며, 입출금 통장에 있는 잔돈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저금통에 저축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자동 모으기와 동전 모으기 기능을 활용하여 손쉽게 저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10만원까지만 입금이 가능하며, 이자 소득은 약 8,460원입니다.
5.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 여유 자금 보관
세이프박스는 일종의 금고로, 여유 자금을 따로 보관하는 계좌입니다. 최대 1억원까지 보관할 수 있으며, 금리는 연 2.4%입니다. 주로 파킹통장으로 활용되며, 1,000만원을 한 달 동안 보관하면 세후 이자로 16,92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 유연한 저축 계획
카카오뱅크 자유적금은 매일, 매주, 매월에 따라 자유롭게 적금을 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월 5만원 또는 월 10만원과 같은 금액을 저축할 수 있으며, 가입 기간은 6개월부터 36개월까지 가능합니다. 이 상품은 최대 연 3.8%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매월 10만원씩 12개월 동안 적금을 넣으면 만기 지급액은 원금 1,200,000원과 세후 이자 19,247원을 합한 총액 1,219,247원이 됩니다. 이처럼, 카카오뱅크의 다양한 상품들은 개인의 금융 상황과 목표에 따라 선택하여 효율적인 저축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7.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 목돈 굴리기
목돈이 있는 경우,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은 연 3.4%의 금리를 제공하며, 1,000만원을 1년 만기로 예치하면 이자는 약 34만원입니다. 다른 은행과 비교하여 금리가 높은 편은 아니므로, 여러 은행의 상품을 비교해보세요.
8. 카카오뱅크 최애적금 : 덕질과 함께 꾸준한 저축
최애적금은 연 2%의 금리를 제공하며, 언제, 얼마나 모을지 자유롭게 규칙을 설정하여 저축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사랑해"라고 말할 때마다 1,000원을 저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축을 즐길 수 있습니다. 커플통장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된 금리는 2023년 4월 28일 기준입니다.
예금과 적금 차이 : 목돈 굴리기 vs 목돈 만들기
예를 들어, 600만원을 가지고 있다면 1년짜리 예금에 넣을지, 아니면 매월 50만원씩 12개월 동안 적금에 넣을지 고민해야 합니다.
예금 : 600만원을 5% 예금에 넣을 경우
- 원금 : 6,000,000원
- 이자 : 300,000원
- 이자소득세 : 46,200원 (15.4%)
- 세후이자 : 253,800원
- 만기지급액 : 6,253,800원
적금 : 매월 50만원씩 12개월 5% 적금에 넣을 경우
- 원금 : 6,000,000원
- 이자 : 162,500원
- 이자소득세 : 25,025원
- 세후이자 : 137,475원
- 만기지급액 : 6,137,475원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품 유형 | 특징 | 적합한 용도 |
예금 | 가입 시 한번에 목돈을 넣어 이자를 받음 | 목돈 굴리기 |
적금 |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므로 이자율이 예금에 비해 낮음 | 목돈 만들기 |
예금은 가입 시점에 목돈을 한 번에 넣어 12개월 동안 이자를 받을 수 있으므로, 목돈 굴리기에 적합합니다. 반면, 적금은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므로, 매달 내는 금액마다 이자 적용이 다르고 예금에 비해 이자가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금은 목돈 만들기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이렇게 예금과 적금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개인의 금융 상황과 목표에 따라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여 저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정리
카카오뱅크의 8가지 주요 예적금 상품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마쳤습니다. 각 상품마다 금리, 가입 기간, 사용 목적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개인의 금융 상황과 목표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이해하고, 목돈 굴리기와 목돈 만들기를 목표로 상품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글을 참고하여 카카오뱅크 예적금 상품 중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고, 효율적인 저축 계획을 세워 나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