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채움공제 1200만원 자격 조건 확인 및 신청 방법 알아보기

우리 사회에서 청년들의 경제적 어려움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청년들의 고용 취약성과 자산 형성의 어려움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청년, 중소기업, 정부가 함께 노력을 기울이는 '청년내일채움공제'라는 제도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공제는 청년들이 취업 기회와 동시에 재산을 쌓을 수 있게 돕는 반면, 중소기업에게는 젊은 인재 확보와 장기근속 지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 공제 제도를 이용하려면 어떤 자격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그 특징은 무엇인지, 현재 신청자 수와 참여 기업 상황은 어떤지, 그리고 장점과 신청 방법 등을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조건 확인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 중소기업, 그리고 정부가 함께 적립하여 청년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은 취업 기회와 자산 형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중소기업은 젊은 인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지원하며, 동시에 자산형성을 위한 다방면의 도움을 줍니다. 다만, 청년내일채움공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격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조건 확인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려면 청년은 몇 가지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첫째, 청년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나이를 가진 사람이어야 합니다. 단, 군필자는 복무 기간에 따라 최대 만 39세까지 확장 가능합니다. 
  • 둘째,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제조업 또는 건설업 중소기업에서 정규직으로 새롭게 입사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 셋째, 월급여 총액이 300만원 이하인 경우입니다. 
  • 마지막으로, 최초 취업자 혹은 최종 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 기간이 12개월 이하여야 합니다. 

중소기업 자격 기준

기업 역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참여하기 위한 일정한 자격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청년이 채용된 날을 기준으로 직전 3개월간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 50인 미만인 경우이며, 제조업 또는 건설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이어야 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첨부된 '중소기업 업종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표] 2023 청년공제 지원업종 코드 분류
코드 항목명
101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2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3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4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
105 낙농제품 및 식용 빙과류 제조업
106 곡물 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107 기타 식품 제조업
108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
111 알코올 음료 제조업
112 비알코올 음료 및 얼음 제조업
120 담배 제조업
131 방적 및 가공사 제조업
132 직물 직조 및 직물제품 제조업
133 편조 원단 제조업
134 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
139 기타 섬유제품 제조업
141 봉제의복 제조업
142 모피제품 제조업
143 편조의복 제조업
144 의복 액세서리 제조업
151 가죽, 가방 및 유사 제품 제조업
152 신발 및 신발 부분품 제조업
161 제재 및 목재 가공업
162 나무제품 제조업
163 코르크 및 조물 제품 제조업
171 펄프, 종이 및 판지 제조업
172 골판지, 종이 상자 및 종이 용기 제조업
179 기타 종이 및 판지 제품 제조업
181 인쇄 및 인쇄관련 산업
182 기록매체 복제업
191 코크스 및 연탄 제조업
192 석유 정제품 제조업
201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
202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
203 비료, 농약 및 살균ㆍ살충제 제조업
204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205 화학섬유 제조업
211 기초 의약 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212 의약품 제조업
213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제품 제조업
221 고무제품 제조업
222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231 유리 및 유리제품 제조업
232 내화, 비내화 요업제품 제조업
233 시멘트, 석회, 플라스터 및 그 제품 제조업
239 기타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1 1차 철강 제조업
242 1차 비철금속 제조업
243 금속 주조업
251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252 무기 및 총포탄 제조업
259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261 반도체 제조업
262 전자 부품 제조업
263 컴퓨터 및 주변 장치 제조업
264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
265 영상 및 음향 기기 제조업
266 마그네틱 및 광학 매체 제조업
271 의료용 기기 제조업
272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기타 정밀 기기 제조업; 광학 기기 제외
273 사진장비 및 광학 기기 제조업
274 시계 및 시계 부품 제조업
281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 변환ㆍ공급ㆍ제어 장치 제조업
282 일차전지 및 축전지 제조업
283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284 전구 및 조명장치 제조업
285 가정용 기기 제조업
289 기타 전기장비 제조업
291 일반 목적용 기계 제조업
292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301 자동차용 엔진 및 자동차 제조업
302 자동차 차체 및 트레일러 제조업
303 자동차 신품 부품 제조업
304 자동차 재제조 부품 제조업
311 선박 및 보트 건조업
312 철도장비 제조업
313 항공기, 우주선 및 부품 제조업
319 그 외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20 가구 제조업
331 귀금속 및 장신용품 제조업
332 악기 제조업
333 운동 및 경기용구 제조업
334 인형, 장난감 및 오락용품 제조업
339 그 외 기타 제품 제조업
34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11 건물 건설업
412 토목 건설업
421 기반조성 및 시설물 축조관련 전문공사업
422 건물설비 설치 공사업
423 전기 및 통신 공사업
424 실내건축 및 건축마무리 공사업
425 시설물 유지관리 공사업
426 건설장비 운영업

코드번호 앞자리가 10~34는 제조업, 41~42는 건설업 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특징

만 15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들은, 제조 또는 건설업의 중소기업에 취업 예정이거나 재직 기간이 6개월 미만이며 월급이 300만원 이하인 경우에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제조와 건설이라는 말이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만 일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취업포털사이트에서 '청년내일채움공제'를 검색하면 다양한 기업이 나오니, 아래 링크를 통해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채용정보 알아보기

청년내일채움공제 현황 : 신청자 수 및 참여 기업 상황

2023년에는 예산이 축소되어 청년내일채움공제의 대상 기업이 제조업과 건설업으로 제한되면서 가입자 수가 감소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선발 진행현황
청년내일채움공제 선발 진행현황

예를 들어, 서울 영등포 지역에서 배정된 500명 중 신청자는 44명에 불과하고 참여 기업은 31곳뿐이었습니다. 다른 지역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장점 : 월급여 + 추가 저축

지원금이 축소되었지만,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여전히 매력적인 제도입니다. 참여하는 청년은 월 16만원을 20개월 동안, 그리고 이후 4개월 동안은 월 20만원을 저축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총 24개월 동안 400만원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적립금액
청년내일채움공제 적립금액

본인 저축과 별도로 기업과 정부는 각각 2년 동안 400만원을 적립(지원)해주는데요. 이에 따라, 청년이 2년간 근속하면 총 1,200만원과 이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참여를 원하는 청년과 중소기업은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함께 청약신청을 해야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절차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절차

이 과정은 워크넷청년공제 홈페이지에서 진행되며, 자격 심사 이후 승인 여부가 통보됩니다. 그 후, 청년공제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신청을 진행하고, 승인된 경우 공제부금이 적립되게 됩니다. 이후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이 적립되며, 만기 시에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워크넷 청년공제 홈페이지 바로가기

6개월 이상 재직 중이면 어떻게 하나요?

만약 새로운 취업자가 아닌, 이미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청년이라면,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를 검토해보세요. 이는 청년 내일채움공제와 마찬가지로 청년들의 재정 안정에 기여하지만, 적립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청년이 3년 동안 600만원을 적립하면, 기업과 정부의 도움을 받아 총 1,200만원을 적립할 수 있습니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 조건 알아보기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복 가입 가능한가요?

청년들의 재정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여러 지원 제도 중,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내일채움공제"가 대표적입니다. 이 두 가지 제도를 동시에 가입하여 이중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많은데요. 중복 가입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자산형성지원사업에 속한 청년내일저축계좌와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제도로, 두 가지 제도에 동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확인해보세요.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조건 알아보기

정리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들에게 취업 기회와 자산 형성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는 매력적인 제도입니다. 고용 취약성에 직면한 청년들과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에게 이 제도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청년과 기업 모두 자격조건을 충족하고, 신청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따라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격 요건과 신청 절차, 그리고 이 제도의 장점을 명확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들이나 중소기업들이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하려 할 때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댓글 쓰기